당뇨망막병증

문안과 의료진은 체계적인 시스템으로
최선의 진료를 제공합니다.

당뇨망막병증이란

당뇨병 진단을 받으면 망막이상이 없다고 하더라도 정기적인 안과검진이 꼭 필요

당뇨병이란 체내 인슐린의 절대량이 부족하거나 그 작용이 부족하여 혈당치가 높아진 상태가 장기적으로 계속됨으로써 여러가지 대사이상과 만성합병증을 초래하게 되는 병입니다.

신장, 신경, 망막과 전신의 크고 작은 혈관들을 침범하여 만성 합병증을 일으키는데, 당뇨병 환자의 약 반수 이상에서 눈을 침범하여 당뇨방막변증의 위험성은 더욱 증가하므로 당뇨 조절을 잘 하더라도 당뇨 발생 후 15년~20년 이상이 지나면 환자의 상당수에서 여러가지 정도의 당뇨망막병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당뇨 망막병증의 초기에는 시력장애 등의 자각증상이 없으므로 당뇨병 진단을 받으면 망막이상이 없다고 하더라도 정기적인 안과검진이 꼭 필요합니다. 안과검진 시에는 눈동자를 키워서 하는 안저정밀검사가 필수적이며, 대부분 형광안저촬영 등의 특수 검사가 필요합니다.

당뇨망막병증 CASE

비증식성 초기의 망막변화로서 당뇨망막병증 환자의 약 90%가 여기에 속합니다. 여러가지 망막혈관의 이상 소견과 출혈, 망막부종 등이 나타나는데, 그대로 방치할 경우 대부분 증식성 당뇨망막증으로 진행하게 되므로 정기적으로 진찰을 계속하다가 적절한 시기에 레이저 광응고술을 시행해야 합니다.
증식성 당뇨망막병증 환자의 약 10%를 차지하며 망막의 지정상적인 혈관들이 나타나 증식하게 되는데, 이 혈관들은 쉽게 출혈을 일으키고 또 주위로 막들이 자라나와 망막을 잡아당겨서 망막박리가 생기기도 합니다.

신생혈관의 출혈로 유리체 출혈이 생기면 눈앞에 떠다니는 그림자가 생기거나 눈이 아주 보이지 않게 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출혈된 피는 자연히 흡수되기도 하지만, 흡수되지 않고 오래가면 망막박리 등 더 큰 이상을 일으켜서 심각한 시력장애를 일으킵니다. 증식당뇨망막병증으로 인한 합병증이 생길 경우 유리체 절제술을 시행하게 됩니다.

당뇨망막병증 치료

레이저응고술

증식 당뇨망막병증은 방치하면 병이 진행하여 실명하거나 심한 안구 통증을 동반하는 신생혈관녹내장 등의 심각한 합병증이 생길 가능성이 높으므로 병의 진행을 예방 혹은 지연시키기 위해 레이저 광응고술을 시행하는데, 대개 1주 내지 2주 간격으로 한쪽 눈에 3-4회 정도 시행하게 됩니다.

그리고 완전한 예방 또는 지연을 확신할 수 없고 1/3정도의 환자에서는 치료 후에도 병이 계속 진행할 수 있으므로 레이저 광응고술 시행 후에도 정기적인 경과관찰이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할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유리체 절제술

혼탁되어 있는 유리체(초자체)를 제거하고 맑은 액체로 바꿈으로서 시력을 회복시켜주고, 망막박리가 있을 때 망막을 제자리에 다시 붙게 만들어 안구를 유지시켜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