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반변성

문안과 의료진은 체계적인 시스템으로
최선의 진료를 제공합니다.

황반변성이란

황반변성이란 망막의 가장 중심에 있는
황반에 변성이 오는 질환을 일컫습니다.


황반은 작지만 민감한 부위로 사물의 중심을 볼 수 있게 하고 사물을 인식해 색을 구별하는 등 시력의 90%를 담당합니다. 황반변성은 65세 이상에서 실명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이며, 미국에서만 연간 천만 명이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황반변성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운전하기, 얼굴 알아보기, 전화하기 등 일상생활을 하는데 불편함을 겪습니다.

황반변성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모세혈관 장애로 인한 저산소증으로 망막과 맥락막에 비정상적인 혈관이 생기고, 이 혈관에서 누출된 혈액이나 액체가 시력저하를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비정상적인 혈관을 생성하는 가장 큰 원인은 노화입니다. 그 외에 고지방·고열량 식습관, 흡연, 스트레스, 고혈압, 비만, 혈중 콜레스테롤, 심혈관계 질환, 황반변성 가족력 등의 요소들이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 외에도 고도근시나 원인불명인 경우도 있습니다.

황반변성의 대상

60대 이상 주로 발병합니다.

하루 20개비 이상 흡연할 경우 위험도 2배 이상 증가합니다.

남성보다 여성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고혈압인 경우 정상혈압을 유지하는 사람보다 위험도 45% 증가합니다.

항산화제와 루테인 섭취가 부족할 경우 위험도 2배 증가

한쪽 눈에 황반변성이 발병한 환자의 42%는 5년 내로 양안에 발병합니다.

가족력 망막변성은 유전적 요인이 영향을 줍니다.

황반변성의 종류

황반변성의 가장 큰 원인은 눈의 노화

비교적 고 연령층에서 (50세 이상) 황반부에 드루젠이라고 하는 침착물들과 다양한 형태의 변성이 오는 질환

DRY ARMD 비삼출성 황반변성

망막층(외측망막, 망망색소상피, 부르크막, 맥막막모세혈관 등)의 위축과 변성, 드루젠(노폐물) 등의 변화가 발생합니다. 시력손상의 정도는 다양하나 경미하고, 대부분 심각한 중심시력 소실은 없습니다.

Wet ARMD 삼출성 황반변성

맥락막 신생혈관 및 원반반흔이 나타납니다. 맥락막 신생혈관에서 나온 장액과 혈액이 중심와를 침범하면서 시력이 감소됩니다. 오랜 부종 및 장액 침범으로 인한 망막측의 박리 및 출혈에 의한 손상으로 영구적 중심시력이 소실되며, 연령관령 환반변성으로 인한 법적 실명상태의 90%를 차지합니다.

Myopic CNV 근시성 황반변성

근시로 인해 눈이 지속적으로 길어지면서 황반의 망막, 맥락막과 색소상피가 얇아지고 위축됩니다. 30대 이후로 발생하며, 맥락막하신생혈관으로 인한 장액성 및 혈액성 황반변성으로 시력이 저하됩니다.

* 건성 및 습성은 모두 진행성이며, 임상양상 및 예후, 치료는 서로 다릅니다.

황반변성의 증상

황반변성 초기에는 환자 스스로 뚜렷한 이상을 찾기 어려우나 컨디션이 좋지 못한 날에는 시력이 떨어지고 컨디션이 좋으면 시력이 다시 회복됩니다.

조금 진행하면 부엌이나 욕실의 타일, 건물 등의 선이 물결치듯 굽어보이는 변형시를 경험하게 되며, 더 진행하면 사물의 중심이 까맣게 보이지 않아 글자의 공백이 생기거나 중심부분이 지워진 듯 보이지 않게 됩니다.

특히 황반변성이 한쪽 눈에 먼저 발병한 경우에는 반대쪽 눈을 사용해 이상을 느끼지 못 할 수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하며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을 때는 즉시 안과를 찾아 정밀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 시력, 즉 사물의
    형태를 구별하는
    능력이 떨어진다.

  • 욕실의 타일이나
    중앙선 등 선이
    굽어보인다.

  • 책이나 신문을
    읽을 때 글자에
    공백이 생긴다.

  • 사물의
    가운데가 검거나
    빈부분이 있다.

  • 물체가
    찌그러져
    보인다.

  • 대비감
    (색 및 명암을
    구별하는 능력)이
    떨어진다.

  • 대비감이
    떨어지면서
    시야의 중심에
    영구적으로
    검은 점이 생긴다.

황반변성 자가진단

암슬러 격자를 이용한 황반변성 진행 여부

  • 밝은 조명에서 쓰던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상태로 검사한다.
  • 한쪽 눈을 가리고 30cm 정도 거리에서 격자의 둥근 점을 바라본다.
  • 중심의 둥근 점에 시선을 고정시킨 후 선들이 어떻게 보이는지 기억한다.
  • 반대편 눈도 똑같은 방법으로 검사해 본다.
  • 선이 물결모양으로 휘어져 보이거나, 중심의 둥근 점이 잘 보이지 않거나, 선의 중간 부분이 끊어져 보이거나, 한 부분이 뿌옇거나 찌그러져 보인다면 황반변성을 의심해 볼 수 있으므로 즉시 안과 전문의를 찾아 정밀 검사를 받아야 한다.

황반변성 치료방법

항혈관성장인자 항체 주사법

시력 유지 및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나, 효과는 4~6주 정도 지속되므로 반복치료가 필요합니다. 주사치료 후에는 균에 감염되지 않도록 항생제를 사용하고 일정기간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광역학 레이저치료(PDT)

광감각물질(비쥬다인)을 혈관에 주사한 후 일정한 파장의 빛을 조사하면 광감각 물질의 활성화되어 신생혈관을 폐쇄하는 방법입니다. 특정조직에만 집중되고, 레이저 빛 조사 범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광감각물질은 독성이 없으나 적절한 파장의 빛이 조사된 부분에만 독성을 나타내는 특징을 이용한 치료법입니다. 약물의 광과민성 특성이 있으므로 피부의 햇빛 노출 시 화상위험이 있어 치료 후 48시간동안 햇빛 및 강한 실내조명은 피해야 합니다.

황반변성의 예방법

황반변성 예방에는 정기적인 안저검사로 황반부 이상을 초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상생활에서는 자외선 차단, 금연, 항산화제 복용, 비타민C 복용, 비타민E 복용, 베타A-카로틴 복용, 오메가3 복용, 안토시안 복용, 혈압관리, 체중조절 및 운동 등이 도움이 됩니다.

황반변성의 주사 치료